셀트리온의 항체 바이오시밀러 램시마『미국 판매명 인플렉트라』의 유럽 및 미국 매출이 늘면서 제품 유통사의 매출도 함께 동반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셀트리온은 지난 2일『현지 시간』 화이자 및 머크가 공개한 실적에 따르면¸ 화이자의 2017년 1분기 세계 바이오시밀러 부문 매출액은 1억500만 달러『약 1187억 원』이며 그 가운데 램시마 판매로 거둔 매출액은 7800만 달러『약 882억 원』이었다고 4일 밝혔습니다.
특히 항암제 분야를 제외한 화이자의 주력 사업이 대부분 부진한 가운데 미국에서 램시마가 지난해 4분기 400만 달러『약 45억 원』에서 올 해 1분기 1700만 달러『약 192억 원』로 약 300% 이상 높은 매출 증가율을 보이면서 화이자의 바이오시밀러 부문 매출 실적을 주도했다는 분석입니다.
화이자는 매출 실적 보고서에서 바이오시밀러 부문 실적에 대해 램시마『인플렉트라』가 주도한 바이오시밀러 부문이 62%의 성장을 기록했다며 실적 하이라이트로 소개했습니다. 화이자는 또 실적 발표와 함께 램시마는 유럽에서 인플릭시맙 바이오시밀러 시장 점유율 41%에 도달했으며¸ 미국 시장에서도 기대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며 우리의 바이오시밀러 목표 달성에 자신감이 있다고 발표했습니다.
반면 램시마가 유럽 시장점유율을 40% 넘게 높이는 등 선전하면서 오리지널 제품인 레미케이드의 유럽 유통을 담당하는 머크의 매출액은 대폭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2일 머크가 발표한 실적보고서에 따르면¸ 1분기 머크의 레미케이드 매출액은 2억2900만 달러『2¸589억 원』를 기록했습니다. 이 같은 실적은 지난 해 같은 분기의 매출액인 3억4¸900만 달러『3947억 원』 대비 -34%¸ 2015년 같은 분기 매출액인 5억100만 달러『5666억 원』에 비교하면 54% 감소한 것입니다.
머크는 이 같은 매출 부진에 대해 유럽에서 바이오시밀러와의 지속적인 경쟁으로 인해 매출이 감소했다고 사유를 밝혔습니다.
한편 이들 기업의 매출 증감세는 램시마의 유럽 및 미국 시장 점유율 확대에 따라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 아직 미국 시장진입 초반인 만큼 앞으로 처방 확대가 이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. 램시마가 미국에 진입한 레미케이드의 퍼스트 바이오시밀러로¸ 향후 약 1년간 바이오시밀러 시장을 독점할 수 있다는 점도 긍정적입니다.
램시마 이후 승인받은 후발 바이오시밀러의 경우¸ 특허 이슈로 향후 6개월 간은 판매가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또 올해 4분기부터 판매가 가능해지더라도¸ 약가 협의와 보험 등재¸ 병원 랜딩에 소요되는 기간을 고려하면 램시마는 앞으로 약 1년 간 미국 인플릭시맙 바이오시밀러 시장을 독점할 전망입니다.
셀트리온은 그 동안 유럽 등에서 쌓아온 램시마와 오리지널 의약품 간 스위칭 임상 데이터 및 누적 처방 사례¸ 유럽시장에서의 마케팅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미국시장에서도 시장을 선점해나가겠다는 계획입니다.
셀트리온 관계자는 램시마는 유럽에서 본격 출시 약 2년여만에 약 40%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시장을 장악했으며¸ 미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며 미국 시장에서의 사보험과 공보험 약가 등재가 최근 들어 마무리 단계에 있기 때문에 매 분기별 유럽에서와 같이 판매량이 더 가파르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