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계보건기구『WHO』는 하루 소금 섭취량을 5g이내로 제한하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. 하지만 짜게 먹는 식습관을 가진 사람들이 여전히 많은 상태 입니다.


소금의 주 성분인 나트륨을 너무 많이 섭취하면 고혈압¸ 비만¸ 노화¸ 심장질환 등의 원인이 되는 만큼 주의가 필요합니다.


다행히 소금을 많이 먹으면 우리 몸은 이상 신호를 보내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라고 요청합니다. 각종 건강매체 자료를 토대로 소금을 많이 먹었을 때 우리 몸이 보내는 신호에 대해 알아본다.


입안이 자꾸 마른다=식사를 하고 난 뒤 입안이 바짝 마르는 느낌이 든다면 너무 짜게 먹은 건 아닌지 고려해봐야 합니다.


소금 함량이 높은 식사를 하면 우리 몸은 소금과 수분의 균형이 깨졌다는 사실을 감지하게 됩니다. 이를 정상으로 돌리기 위해 목마른 상태를 유도해 물을 자꾸 마시도록 만드는 것입니다.


반지가 꽉 낀다=체중이 늘지도 않았는데 평소 잘 들어가던 반지가 갑자기 꽉 끼거나 들어가지 않을 수 있습니다. 이는 소금 섭취량 및 체내 수분 보유율과 연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.


우리 몸은 전해질과 유동체가 균형을 유지해야 합니다. 그런데 나트륨 과잉 섭취로 전해질 농도가 올라가면 유동체와의 적정 비율이 깨지게 됩니다.


이로 인해 뇌는 유동체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만드는 호르몬 방출을 유도합니다. 손가락 내 수분 보유율이 늘어나면서 붓기가 생기고 반지가 들어가지 않게 된다는 것입니다.


머리가 지끈거린다=영국의학저널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하루에 나트륨 섭취량이 3500㎎인 사람은 1500㎎인 사람에 비해 두통이 3배 이상 잘 생깁니다. 소금 섭취량이 높으면 혈압이 정상이어도 두통이 쉽게 찾아온다는 것입니다.


건강상 별다른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자주 두통에 시달린다면 그날 먹은 음식과 두통 사이에 연관성은 없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.


머릿속이 흐릿하다=소금을 많이 먹으면 탈수증이 생깁니다. 탈수증이 있으면 머리가 잘 안 돌아가게 됩니다. 영양학저널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탈수 상태가 되면 평소보다 집중력¸ 기억력¸ 추론¸ 반응속도 등이 전반적으로 떨어집니다.


화장실에 자주 간다=물을 많이 마시면 화장실에 자주 가게 됩니다. 소금 섭취량이 많을 때도 마찬가지 입니다. 신장『콩팥』이 과잉으로 흡수된 소금을 처리하기 위해 평소보다 일을 많이 하면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.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