편두통은 비만이나 저체중과 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. 미국 존스 홉킨스대학 의대 두통 연구실장 리 퍼터린 박사는 비만이나 심한 체중 감소가 편두통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. 지금까지 발표된 관련 연구논문 12편『총 연구대상자 28만 8¸981명』을 종합분석『meta-analysis』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퍼터린 박사는 말했습니다. 체질량지수『BMIː body-mass index』가 30 이상으로 비만한 사람은 정상『25~29.9』인 사람에 비해 편두통 발생률이 27%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또 BMI가 18.5 이하로 저체중에 해당하는 사람은 체중이 정상인 사람에 비해 편두통을 겪을 가능성이 13%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BMI는 체중『kg』을 신장『m』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로 18.5~24.9는 정상¸ 25~29.9는 과체중¸ 30 이상은 비만으로 분류됩니다. 이처럼 체중이 편두통 위험과 연관이 있는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¸ 지방조직도 내분비 기관인 만큼 갑상선과 같은 다른 내분비 기관처럼 호르몬 분비가 과다하거나 너무 적으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퍼터린 박사는 밝혔습니다. 체중이 지나치게 늘거나 줄 때 나타나는 지방조직의 변화로 호르몬과 단백질의 분비 기능이 달라지고 이 때문에 체내의 염증 환경에 변화가 발생하면서 편두통을 촉발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그는 설명했습니다. 편두통¸ 비만-저체중과 관계있습니다. 그러나 이 결과는 편두통과 과다-과소 체중 사이에 연관이 있다는 것일 뿐 인과관계가 성립된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그는 강조했습니다. 이와 관련해 고도 비만인 편두통 환자가 체중을 줄이기 위해 배리아트릭 수술『소화관 변형 수술』을 받은 뒤에는 편두통 빈도가 50% 줄어들었다는 사례도 있고 유산소 운동이 편두통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고 퍼터린 박사는 지적했습니다. 이 연구결과에 대해 뉴욕 몬테피오레 두통센터『Montefiore Headache Center』의 돈 뷰스 실장은 자신이 치료하는 편두통 환자 중에는 체중이 늘면 편두통 횟수가 많아지고 체중이 줄면 빈도가 줄어드는 경우가 있다고 밝혔습니다. 이 연구결과는 미국 신경학회 학술지 신경학『Neurology』 최신호에 발표됐습니다.

+ Recent posts